일반기계는 산업생산기술 전반의 저변을 구성하는 산업으로서 전·후방 연관효과가 높은 기술축적용 고용창출 핵심기반산업이다. 세계기계시장은 독일, 미국, 일본의 3강 체제에서 중국이 추가된 4강체제로 변화되었으며, 이들국가의 2010년 세계수출시장의 47.8%를 점유하고 있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바, 신흥국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척으로 중국시장의 대안을 모색하고 마케팅 인프라를 선진국업체 수준으로 확층하고, 무역역조 탈피와 Nutcracker 위험요소를 위한 취약부문을 육성하고, 수출상품을 다양화 해야하겠다.

최근 산은경제연구소 김정범 수석연구원이 발표한 자료를 중심으로 일반기계산업의 수출확대 요인과 시사점을 제시해 본다.

1. 수출의 확대



 일반기계는 산업 생산기술 전반의 저변을 구성하는 산업으로서 부품, 중간조립품, 완제픔으로 구분된다. 수출 주력산업인 전자, 자동차, 조선 등의 설비를 공급하는 동시에 철강, 금속제품등의 주요 수요산업이며, 숙련된 기술인력 의존도가 높아 고용창출효과가 큰 산업이다.
일반기계 수요중 수출은 1995년 부터 2009년 기준 연평균 14.7%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공급 측면에서 는 국내생산 비중이 확대되고 수입품비중은 축소되었으며, 재료의 국산화율 상승으로 수입의존도가 완화되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시장으로서의 수출은 일반기계의 평균 수출 증가율(16.5%)보다 낮은 12~13% 대의 증가에 그친반면, 대중국 수출호조가 수출증가를 견인하고 있다.(2001년 17.7%->2010년 28.2%) 내연기관 및 터번, 건설기계, 기타 특수목적용기계의(예를들면 광물분쇄, 세척, 분류, 성형기계, 고무, 플라스틱 등) 수출비중이 높아지면서 2000년대 일반기계 수출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p01.jpg

2. 세계시장의 변화



 근자에 들어 세계시장은 독일, 미국, 일본의 3강체제에서 중국이 추가된 4강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들 4개국이 세계시장의 47.8%를 점유하고 있다.(2010년 기준)
또한 이들 4개국의 2010년 기준 일반기계 수입의 46.1%를 점유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2009년 이후 수입면에서 일본을 능가하고 있으나 수출이 수입보다 크게 증가하여 무역적자규모는 1/3로 축소되었다.
주목할 것은 중국이다. 일반기계 전 품목의 시장점유율이 중국은 상승한 반면, 미국은 모든 품목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독일과 일본은 점유율이 하락한 품목이 상승품목보다 하락되었다<표2참조>

p02.jpg

3. 주요시장및 품목별 수출확대 요인

1)시장추이

우리나라의 수출증가요인으로는 제품의 경쟁력 향상과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시장확대가 일반기계 수출증가에 결정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점유율 상승에 의한 경쟁력 향상요인이 상대적으로 수출증대에 크게 기여했으며, 일본과 독일시장에서는 경쟁력 향상요인과 양국의 총수입 규모 변동에 의한 수출증대 요인이 비슷한 수준으로 작용했다.

2) 품목별추이

우리나라의 경쟁력 향상에 힘입어 일반기계 전 품목의 수출이 모두 증가하였는데 내연기관과 터빈, 건설기계, 가공공작기계, 액체펌프, 농업용기계, 섬유기계, 기타 특수목적용기계, 기타일반기계, 동력전달 장치 등 9개 품목이 주도를하였다.

p03.jpg

세계시장 확대로 인한 수출증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품목은 냉동공조기계, 기체펌프 및 압축기, 운반화역기계, 펄프 및 종이가공기계, 인쇄제본기계, 식품가공기계, 사무용기계, 베어링, 탭·코크·밸브, 기타 일반기계부품등이다.
냉동공조기계와 식품가공기계는 중국에 의한 점유율침식으로 경쟁력이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총수입규모 증대에 의해 수출액이 증가하였다. 세계시장 비중 하락이 수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섬유기계가 가장 크고 식품가공기계가 가장 적다.

4. 시사점 및 과제



1) 시사점



일반기계의 수출증가 추세를 지속시킬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해야 하겠다. 선진국과의 경쟁력 격차를 좁히는 과정에서 수출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일반기계 중에서 산업기술력의 저변을 형성하는 주요 품목에서 기술경쟁력 향상효과가 높은 점은 고무적인 현상이다.

2) 과제

중국시장에 대한 관심과 개척으로 중국 수요 둔화에 대비한 시장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무엇보다고 신시장개척은 다양한 시장의 특성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중요하며, 마케팅 인프라를 선진국 업체 수준으로 확충해 나가야 하겠다.

p04.jpg

무역역조 탈피와 Nutcracker위험 해소를 위한 취약부문을 육성해야 하겠다. 기술축적에 장시간을 요하는 기계산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부품·소재 등 저변분야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계획을 추진해 나가야 하겠다.
수출상품의 다양화를 모색해야하겠다. 특히 작은변화를 통한 수요변화에 대한 대응이 최종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일단 경쟁력을 확보하면 상대적으로 장기간 경쟁력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INDUSTRY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