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가 이끄는 성장의 한계 나타나면서 경기활력 저하
건설투자 줄어드는 가운데 가계 소비성향은 완만한 회복
철강 • 전자 호조, 조선 • 유통 불투명, 건설 • 석유화학 • 자동차 둔화 [2강 2중 3약]

올 하반기 깜짝 성장에도, 경기 회복세를 낙관하기 이르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11월 13일(월) 오후 1시 30분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8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이 2018년 국내외 경제 전망을 발표하고, 산업별 전문가들이 7개 주력산업의 전망을 이어나갔다.


경기 회복세에 들어섰지만, 한국경제 대외 의존도 높고 하방 리스크 여전


송원근 한경연 부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 3분기 수출과 설비투자 확대로 인한 깜짝 성장으로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우리 기업이 체감하는 경기와는 온도차가 있다"고 말했다.
송 부원장은 "미 기준금리 인상, 한미자유무역협정 개정, 가계부채 문제 등 장기 문제가 여전한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의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 논의를 앞두고 있어 기업 환경도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며, "경기가 회복세에 들어섰지만 외부적 요인의 의존도가 높고 하방 리스크도 여전하다.


중장기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경제의 잠재성장력 제고와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감안한 정책 보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날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4분기 이후 경기 상승 흐름이 다소 약해져 내년에는 2% 대 중반 성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가 감소세로 돌아서고 설비투자도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소비가 투자둔화를 얼마나 만회할 수 있을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세계경제는 내년에도 상승흐름을 이어가겠지만 올해보다 성장률이 높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말 이후 투자가 세계경제를 이끌어왔으나 주요 국가들의 고용확대 여지가 낮아 경기회복 흐름을 소비가 받아 주도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2018년 상반기 주요산업 업황 개선 기대할 수 없어 철강·전자 호조, 조선·유통 불투명, 건설·석유화학·자동차 둔화

a09.jpg

내년 상반기 국내 주력산업의 경기전망은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과 전자를 제외한 조선, 유통,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의 업황 전망이 불투명하거나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업은 세계 철강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절반이상 차지하는 중국의 공급 조절이 계속되면서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신규 건설 수주 금액이 증가하고 재정지출 증가율이 확대되면서, 철강 수요가 전년 대비 1.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요산업인 기계업종의 시황개선으로 철강 단가 인하 압박이 작은 것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전자업종은 2017년의 호황이 내년 상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애플의 아이폰 X 출시에 따라 OLED, 카메라 등 한국의 주요 부품사 수혜가 예상된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른 배터리 수요 증가도 호재이다.
올해 8월부터 시작한 테슬라의 Model 3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내년 1분기부터 전기차 생산량이 급증할 전망이다.

10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 선진국의 가전 수요 증대 등도 예상된다.


조선업은 빅3사(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의 수주잔고가 2015년 말 대비 44.1% 감소해, 내년 3분기까지 매출 감소와 영업이익률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후판 가격 상승으로 인한 신조선 가격 상승에 따라 중고선 교체발주가 본격화 되 면 서 2018 년 에 는 2010~15년의 80% 수준인 807억달러의 발주가 예상된다.


기계 업종은 세계 경제의 회복에 따른 건설경기 호조와 공작기계 해외수주액 급증으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은 가계 구매력 개선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은 긍정적이나,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신규 점포 확대 차질, 복합쇼핑몰 월 2회 휴무 가능성과 납품업체 인건비 분담 의무 도입 등 공정위의 불공정거래 근절대책이 업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건설업은 분양가상한제와 8.2 대책에 따른 양도세 강화 등으로 업황 부진이 예상된다.

특히 주택시장은 분양물량과 매매물량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 건설 부문은 글로벌 경기호조에 맞춰 중동 지역의 수주 증가가 기대된다.


석유화학산업은 북미 천연가스 설비가 신규로 가동됨에 따라 공급과잉이 지속되면서, 수급불균형에 따른 업황 전망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정제마진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산업은 중국시장에서의 부진과 미국 시장에서의 수익성 하락 등으로 업황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INDUSTRY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