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화학산업의 인력수급 현황


①화학산업의 범위와 위치

2013년 현재 화학산업의 종사지수는 약 37만명 정도이며,종사자수로는 전체 제조업의 3.2%를 차지하지만 부가가치는 19.4% 차지한다.

c17.jpg

화학산업이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12% 정도다.
2014년도 화학산업의 수출액은 약 710억 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12.4%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산업의 무역수지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의 39.0%를 차지하고 있다.

c18.jpg

②화학산업의 산업기술인력
2013년 현재 화학산업의 산업기술인력은 112,609명이고 화학산업은 우리나라 주요 12대 주력산업 중에서 현원대비 부족인원이 가장 많아서 부족률이 3.9%에 이르고 있다.

c19.jpg

산업부문별로는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제조 부문의 기술인력이 2.7%로 가장 높은 부족률을 보이고 있다.
직종별로는 연구직이나 기술자들의 부족인원이 크지 않은 반면,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경우는 3.0%로 가장 높은 부족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의 인력수급불균형이 일상화 되어 있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c20.jpg

③소결론
일반적으로 산업기술인력의 부족현상은 구직자의 직무능력(학력이나 자격, 경험, 숙련도) 부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화학산업에서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원인은 이러한 일반적인 요인들 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적 요인도 있다.

- 화학물질을 취급하므로 대체로 직무 숙련기간이 오래 걸림
- 기업이 도시외곽지역에 떨어져 있어 근로자들이 지리적 접근성이 쉽지 않음
- 화학물질에 대해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위험성 내지는 위해성에 대한 오해 등이 존재함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제조업의 경우 평균적으로 급여수준2)이 낮거나 근무조건 등 근무환경이 열악하여 해당분야에 대한 지원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음

II. 화학산업의 훈련과정과 훈련기관


①고용노동부의 직업능력개발 체계
우리나라의 직업능력개발 사업체계는 크게 재직자훈련과 실업자훈련으로 나눌 수 있다.
재직자훈련은 사업주 능력개발지원사업, 중소기업특화사업, 근로자 직무 능력향상지원금사업, 재직자 내일배움카드제가있다.
실업자 훈련사업에는 국가기간전략직종훈련, 실업자직업훈련(내일배움 카드제) 그리고 폴리텍과 한기대가 참여하고 있는 공공훈련 등이 있다.

c21.jpg

②화학분야의 훈련직종
화학분야의 훈련직종은 화학제품제조, 위험물 및 가스취급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화학제품제조는 석유화학, 정밀화학, 플라스틱제품제조 등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화학산업의 분류로 받아들이는 직종이다.
- 이외에도 가죽처리, 종이제조, 시멘트제조 등을 포함하고 있음

c22.jpg

국가기간 전략산업 직종 훈련과정 중 화학분야와 관련된 훈련직종은 4개 직종이며 훈련기관 수는 70개 정도에 이르고 있다.
- 훈련직종으로는 고무제품제조, 고압가스화학제품제조, 의약품제조, 프라스틱제품 제조가 있음
- 훈련과정들은 정원과 실시인원에 비해 수료율이 매우 낮음
- 수료율이 낮다는 것은 훈련과정이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거나 훈련내용과 산업현장의 훈련수요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음

c23.jpg

③소결론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화학분야의 훈련과정은 대체로 훈련직종이나 실시인원의 규모 그리고 수료율 등의 측면에서 볼 때 효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산업현장의 교육훈련수요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훈련과정의 비효율성은 국가예산의 낭비를 의미하므로, 화학산업의 부문별 인력수급실태조사와 전망을 기초로, 교육훈련 수요파악과 훈련과정의 설계에 ISC가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I.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석유화학산업의 인력수급전망


①전망의 방법


-취업자수의 증가요인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2018년까지 총 21.2조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할 계획으로 현재 50대 중반에서 50대 후반에 걸쳐있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정년을 맞이하기 시작하여 이들을 대체해야 할 인력이 필요하다.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까지 이루어진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집중적인 투자로 석유화학산업의 인력이 크게 늘어났으며 이들의 연령은 현재 40대 후반에서 50대 중반으로 향후 5~10년 동안 정년퇴직의 시기를 맞이할 것이다.

-취업자수의 감소요인
국내석유화학산업은 부가가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술혁신으로 부가가치액당 취업자수는 줄어들어 석유화학산업의 노동수요탄력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망의 방법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력수급전망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산업별 부가가치와 취업계수를 전망함으로써 산업 별 고용자수를 전망하는 것이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부가가치와 취업계수를 시계열분석에 의해 각각 전망하고 난 다음 이 두 전망치들을 서로 곱하였다.

②전망


-취업계수의 지속적 감소추세
우리나라 석유화학산업은 부가가치 생산액 10억원 당 종사자수가 1999년도의 3.8명에서 2013년도에는 1.21명으로 줄어 들었다.
1999~2013년의 14년 동안 석유화학산업의 부가가치는 6조 9,350억원에서 25.2조원으로 약 267.7%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종업원수는 26,434명에서 30,508명으로 약 15.4% 증가하는데 그쳤다.

-부가가치 전망
2018년까지 설비투자가 계획되어 있어 부가가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2014~2020년 동안에는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의 석유화학제품 자급률 향상으로 인한 수출수요의 감소를 반영하여 1.5%의 낮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취업계수 전망
석유화학기업들의 기술혁신과 꾸준한 원가절감 노력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취업계수는 2013년의 부가가치생산액 10억원당 1.21명에서 2020년에는 부가가치생산액 10억원당 1.14명 정도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가가치액 변화로 인한 종사자수의 변화요인(△E+)
부가가치액의 증가로 인해 종사지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종사자수의 변화규모는 2014년의 432명 증가에서 2020년에는 447명으로 전망된다.

-취업계수의 감소로 인한 종업원수 감소 요인(△E-)
일반적으로 산업이 성장해 감에 따라 노동생산성이 증가하는 것이 흔히 관찰되는 현상이다.
취업자계수는 노동생산성과 역의 관계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취업한다.

c24.jpg

-석유화학산업의 신규 인력수요
2013년 현재 석유화학계 기초석유화학물질제조업의 종사자수는 13,994명이고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물질제조업의 종사자수는 16,514명이다.
이들 산업에서 50대 이상의 연령분포가 각각 15.2% 정도며 이는 향후 10년 동안 적어도 연간 464명 정도의 인력이 은퇴를 맞이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매년 464명 정도의 신규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석유화학산업의 부가가치 증가 및 취업계수의 감소로 인한 연간 종사자수의 순증가효과 176명을 더하면 향후 2014 ~2020년 동안 연간 640명 정도의 신규인력이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화학산업의 신규 인력수요
2013년 현재 석유화학계 기초석유화학물질제조업의 종사자수는 13,994명이고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물질제조업의 종사자수는 16,514명이다.
이들 산업에서 50대 이상의 연령분포가 각각 15.2% 정도며 이는 향후 10년 동안 적어도 연간 464명 정도의 인력이 은퇴를 맞이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매년 464명 정도의 신규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석유화학산업의 부가가치 증가 및 취업계수의 감소로 인한 연간 종사자수의 순증가효과 176명을 더하면 향후 2014 ~2020년 동안 연간 640명 정도의 신규인력이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c25.jpg

-석유화학산업의 생산직 신규 인력수요
특히 석유화학산업의 생산직 인력으로 추정되는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종사자가, 약 74.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c26.jpg

향후 10년 동안 생산직 신규취업자수는 적어도 연간 477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2014. 10. 1). ‘직업훈련혁신 및 심사평가위원회’회의 자료
2. 산업자원부. (2014. 11. 27).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3. 고용노동부. (2013. 7). 직업능력개발사업현황
4. 한국석유화학협회. (2013. 2). 석유화학마이스터고 교과과정 및 졸업인증 시스템 개발

cc5.jpg

저작권자 © INDUSTRY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